갤로그 홈 홈 게시글 댓글 스크랩 방명록 실베 선정 배지 실베 선정 3 익명 사용 미니갤에 남긴 글은 작성자만 볼 수 있습니다. 닫기 전체(129) 갤러리(89) 마이너갤(40) 미니갤(0) 인물갤(0) 검색 전체보기정렬 기준선택 전체보기 그림 문화재 실시간 베스트 에반게리온 카툰-연재 일부공개 동서당제가 운용되는걸 보면 수 당 이전의 것이라 추정한다고도 하던디… 우리 쪽 사람들이 직접 가서 연구할 수 있으면 좋겟다는 생각이 들더라공 팔각탑은 오버테크라고 생각되긴하는데 정릉사 같은 곳 보면 몇 차례 증축해서 만들어졌다는 언구도 있고 황룡사처럼 차례대로 만들었다는 추정도 있더라고, 물론 북위 같은 북방계통 건축의 영향을 받아서안거같긴한데 - dc App 문화재ⓜ 2023.07.14 고구려 장안성은 흔적도 없음? 개인적으론 고려 시대가 맞는거같음. 와당 문양이 대성산성꺼랑 차이가 너무 심하고 건물 배치도 동시대에 비해서 너무 진보적이라. 기경량 교수님꺼 자료들 한번 봐보는거 추천~ - dc App 문화재ⓜ 2023.07.09 고구려 장안성은 흔적도 없음? 그럼 비교하기 어렵지 ㅋㅋㅋ 글고 요즘 안학궁은 고려 초에 건설된 곳으로 해석하더라고 - dc App 문화재ⓜ 2023.07.07 고구려 장안성은 흔적도 없음? 어디갓숴 - dc App 문화재ⓜ 2023.07.06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장안성 건물지 터가 기록된게 있음? - dc App 문화재ⓜ 2023.07.06 고구려 장안성은 흔적도 없음? 안학궁은 궁성지고 장안성은 도성이니 당연히 장안이 크징 그리고 안학궁이라는 명칭은 원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장안성 내에 있는 궁궐 터를 지칭하는 말이었다카더라고 - dc App 문화재ⓜ 2023.07.04 고구려 장안성은 흔적도 없음? 일제 때 만수대 근처에서 궁문으로 보이는 유적을 찾았었는데 지금은 도심 한가운데라 확인하기 어려울듯 유구는 파내면 나오지 않을까 - dc App 문화재ⓜ 2023.06.18 고구려 장안성은 흔적도 없음? 녹유와인데 저따 동아시아 대부분 복원도를 저렇게 묘사해서 따라그림 ㅋ - dc App 문화재ⓜ 2023.06.15 신라, 고려, 조선 궁궐 정전 비교 원래 황룡사는 궁궐보다 크게지으려 작정한데임 - dc App 문화재ⓜ 2023.06.15 신라, 고려, 조선 궁궐 정전 비교 조선 후기 왕실에서 시주하면서 청기와 한두점씩 내려주는 사례가 있었다고함둥 - dc App 문화재ⓜ 2023.06.07 사찰 지붕위에 청기와가 올라간 이유가 중국은 유리와를 대규모로 쓴다 정도? 기술적인 면에서는 크게 차이를 두기가 애매할건데 - dc App 문화재ⓜ 2023.06.07 한국이랑 중국 일본 기와의 명확한 차이점 아는사람 풍납토성이 처음부터 그 규모로 만들어진게 아니고 단계별로 수축된게 그동안의 조사에서 확인됨. 우리가 인식하는 규모 (8~10미터 높이)는 빨라도 4세기 초 무렵에 완성된 걸로 보이고 2-300년 동안 꾸준히 확장된 공간이라 백제가 건설한 걸로 보기 충분함 - dc App 문화재ⓜ 2023.05.19 풍납토성이 백제가 만든거라는 근거 없지 않음? 그렇다능 - dc App 그림ⓜ 2023.04.12 6개월간 그린 문화재 그림들 속상하네요… - dc App 문화재ⓜ 2023.04.11 하... 여기 들어가는 길 너무 무섭지 않나용 ㅠ 맞은 편에 차올 때 살짝 울뻔… - dc App 문화재ⓜ 2022.12.08 병산서원 문화재ⓜ 2022.12.06 문화재갤 여러분 안녕하세요 전에 단청만화 그린 사람임니다 문화재ⓜ 2022.12.06 문화재갤 여러분 안녕하세요 전에 단청만화 그린 사람임니다 문화재ⓜ 2022.12.06 문화재갤 여러분 안녕하세요 전에 단청만화 그린 사람임니다 감사합니당…! - dc App 문화재ⓜ 2022.12.06 문화재갤 여러분 안녕하세요 전에 단청만화 그린 사람임니다 전 만화를 그려볼게여 - dc App 문화재ⓜ 2022.06.16 문화재 갤러리를 부흥시킬 방법이 뭘까여.. 1234567
야간 모드를 이용해 보세요
갤로그 홈
익명 사용 미니갤에 남긴 글은 작성자만 볼 수 있습니다.
동서당제가 운용되는걸 보면 수 당 이전의 것이라 추정한다고도 하던디… 우리 쪽 사람들이 직접 가서 연구할 수 있으면 좋겟다는 생각이 들더라공
팔각탑은 오버테크라고 생각되긴하는데 정릉사 같은 곳 보면 몇 차례 증축해서 만들어졌다는 언구도 있고 황룡사처럼 차례대로 만들었다는 추정도 있더라고, 물론 북위 같은 북방계통 건축의 영향을 받아서안거같긴한데
- dc App
개인적으론 고려 시대가 맞는거같음. 와당 문양이 대성산성꺼랑 차이가 너무 심하고 건물 배치도 동시대에 비해서 너무 진보적이라. 기경량 교수님꺼 자료들 한번 봐보는거 추천~
- dc App
그럼 비교하기 어렵지 ㅋㅋㅋ
글고 요즘 안학궁은 고려 초에 건설된 곳으로 해석하더라고 - dc App
어디갓숴 - dc App
장안성 건물지 터가 기록된게 있음? - dc App
안학궁은 궁성지고 장안성은 도성이니 당연히 장안이 크징
그리고 안학궁이라는 명칭은 원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장안성 내에 있는 궁궐 터를 지칭하는 말이었다카더라고 - dc App
일제 때 만수대 근처에서 궁문으로 보이는 유적을 찾았었는데 지금은 도심 한가운데라 확인하기 어려울듯
유구는 파내면 나오지 않을까 - dc App
녹유와인데 저따 동아시아 대부분 복원도를 저렇게 묘사해서 따라그림 ㅋ - dc App
원래 황룡사는 궁궐보다 크게지으려 작정한데임 - dc App
조선 후기 왕실에서 시주하면서 청기와 한두점씩 내려주는 사례가 있었다고함둥 - dc App
중국은 유리와를 대규모로 쓴다 정도? 기술적인 면에서는 크게 차이를 두기가 애매할건데 - dc App
풍납토성이 처음부터 그 규모로 만들어진게 아니고 단계별로 수축된게 그동안의 조사에서 확인됨. 우리가 인식하는 규모 (8~10미터 높이)는 빨라도 4세기 초 무렵에 완성된 걸로 보이고 2-300년 동안 꾸준히 확장된 공간이라 백제가 건설한 걸로 보기 충분함 - dc App
그렇다능 - dc App
속상하네요… - dc App
여기 들어가는 길 너무 무섭지 않나용 ㅠ 맞은 편에 차올 때 살짝 울뻔… - dc App
감사합니당…! - dc App
전 만화를 그려볼게여 - dc App